1. 기획배경(문제정의)

뉴노멀 시대를 맞이하면서, 라이브 커머스 시장은 2023년까지 약 10조 시장으로 성장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그림1] 그러나 라이브 커머스는 기존 홈쇼핑 방송과 달리 시청자와 쌍방향 소통이 이뤄져야 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기존의 홈쇼핑에 익숙한 호스트들이 새로운 환경에 익숙치 못한체 투입되는 게 현실입니다.

위 문제점 해결을 위해 실시간 채팅을 딥러닝 모델이 분석하여 , 그날의 반응 보고서를 호스트들에게 제공하고자합니다.

또한, 아직 규제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다보니, 욕설·음란·사기 등 범죄 혐의가 의심되는 경우에만 사후 제재가 가해질 뿐 많은 변수가 존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점은 궁극적으로 매출 저하로 이어질 수 있기때문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욕설, 혐오발언 탐지 딥러닝 모델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그림1. 라이브커머스 시장 전망

그림1. 라이브커머스 시장 전망

1.1. 실제로 적용되는 내용(구체적인 문제 정의)

2. 프로젝트 설계

2.1. 머신러닝 문제 타당성 확인

2.3. 프로토타입(기획안)

그림3. 작업 흐름도

그림3. 작업 흐름도

Untitled

그림4. 프로토타입 흐름 (욕설, 보고서)

그림4. 프로토타입 흐름 (욕설, 보고서)

2.3. 리포트 구성 기획